한국의 여름을 대표하는 절기인 초복, 중복, 말복은 삼복(三伏)으로 불리며, 한 해 중 가장 더운 시기를 이릅니다.
이 시기에는 체력을 보충하고 더위를 이겨내기 위한 다양한 전통과 풍습이 존재합니다. 이 글에서는 삼복의 정확한 유래와 함께,
초복·중복·말복에 어울리는 보양식 추천, 그리고 예로부터 전해져 온 여름철 풍습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삼복(초복·중복·말복)의 유래와 의미
삼복은 음력 6월에서 7월 사이, 즉 양력으로는 대개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 사이에 걸쳐 나타나는 세 번의 무더운 날을 의미합니다.
초복은 첫 번째 복날, 중복은 두 번째, 말복은 마지막 복날로 구성되며, 이 세 날을 ‘삼복’이라고 통칭합니다.
삼복은 절기와는 별개로, 천간(天干)과 지지(地支)를 조합한 ‘간지력(干支曆)’을 기준으로 정해집니다.
그 기원은 고대 중국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음양오행 사상에서 양기(陽氣)가 가장 왕성한 시기에 건강이 약해질 수 있다는 믿음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이 삼복을 하나의 의례적 절기로 받아들였고, 궁중과 민간에서 모두 특별한 음식과 관습을 통해 더위를 이겨내려는 노력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습니다. 특히 왕실에서는 삼복마다 상서로운 음식과 과일을 하사하며 건강을 기원했고, 백성들 역시 정갈한 음식을 준비해 가족 건강을 돌보는 문화가 형성되었습니다.
삼복철에 어울리는 보양식 추천
삼복은 체내 에너지가 빠르게 소모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예로부터 ‘이열치열(以熱治熱)’의 원리에 따라 뜨겁고 영양가 높은 음식을 먹는 문화가 자리 잡았습니다. 초복, 중복, 말복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전반적으로 공통된 보양식이 있습니다.
1. 삼계탕
초복에는 가벼우면서도 영양이 풍부한 삼계탕이 인기입니다. 닭 한 마리에 찹쌀, 인삼, 마늘, 대추를 넣고 푹 끓여 만든 삼계탕은 면역력 강화와 기력 회복에 탁월합니다. 특히 인삼의 사포닌은 피로해소와 집중력 강화에 도움이 되며, 체온 유지에도 효과적입니다.
2. 장어구이
중복은 더위가 절정에 달하는 시기이므로, 보다 강한 스태미나 식품인 장어가 인기입니다. 장어는 고단백, 고칼로리 음식으로 비타민 A, E, 오메가 3이 풍부하여 혈액순환과 기력 회복에 탁월합니다. 숯불에 구워 고소하게 즐기는 장어구이는 여름철 대표 보양식 중 하나입니다.
3. 전복죽과 오리백숙
말복은 더위의 마지막 고비로, 지친 위장을 다독이는 보양식이 추천됩니다. 전복죽은 부드럽고 소화가 잘 되며, 전복의 타우린과 아미노산이 피로 해소에 도움을 줍니다. 또한 오리백숙은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해 체내 열을 식혀주고, 위장 기능 강화에 좋습니다.
보양식은 단지 영양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공동체와 가족이 함께 모여 더위를 이겨내는 따뜻한 풍경을 만들어주기도 합니다.
복날에 전해 내려오는 전통 풍습들
삼복 기간에는 단지 보양식을 먹는 것 외에도 여러 풍습이 있었습니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복날을 맞아 다음과 같은 문화가 활발히 이어졌습니다:
1. 목욕과 냉수마찰
복날 전후로는 냇가나 계곡, 우물가에서 몸을 씻거나 냉수마찰을 하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더위를 이기기 위한 실질적인 행동이자, 신체를 정갈하게 하는 상징적 의미를 함께 담고 있었습니다.
2. 부채 선물과 해바라기 기름
복날에는 예로부터 지인이나 스승에게 부채를 선물하는 문화도 존재했는데, 이는 더위를 식히는 물건을 나누며 건강과 안녕을 기원하는 풍속입니다. 또 한약재를 담근 해바라기 기름을 나눠 먹거나 바르기도 했습니다.
3. 백중과 맞물린 공동체 문화
삼복은 백중(百中)과 시기가 겹치는 경우가 많아, 농번기 이후 마을 사람들이 함께 음식을 나누는 ‘복달임’ 문화가 발달했습니다. 이는 서로의 수고를 위로하고, 더위 속에서도 공동체가 단결하는 중요한 기회가 되었습니다.
현대에는 복날 풍습이 간소화되었지만, 여전히 많은 가정과 식당에서 삼복을 기념하며, 전통의 정신을 계승하고 있습니다.
활기차고 건강한 여름을 나기 위한 실천
초복, 중복, 말복은 단순한 절기가 아닌 건강과 공동체의 가치를 되새기는 시기입니다. 삼복의 유래를 알고, 시기별로 적절한 보양식을 챙기며, 전통 풍습을 기억하는 것은 우리가 계절의 흐름 속에 조화를 이루며 사는 지혜입니다.
올여름에도 복날에는 보양식과 함께, 내 몸과 마음 모두를 충전해 보세요.